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안전정책 최고경영자과정(OASIS)은 고용노동부, 한국기술교육대학교,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국내 최고의 산업안전 전문가로 구성된 강사진이 산업재해 "예방"을 중심으로 산업재해 "사례" 위주로 운영됩니다. 2024년도 제 3기 과정의 원우들의 최고의 수강 만족도와 현장의 전문가와 다양한 분야의 원우들의 교류는 기업의 안전경영 현장에 귀중한 정보가 되고 있습니다. 2025년도 제 4기 과정은 중대재해처벌법·산업안전보건법 국내 최고 전문가를 강사로 모시고 고도화와 스마트화된 산업안전정책 최고경영자과정으로 여러분을 모십니다.
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안전정책 최고경영자과정(OASIS)은 고용노동부, 한국기술교육대학교,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국내 최고의 산업안전 전문가로 구성된 강사진이 산업재해 "예방"을 중심으로 산업재해 "사례" 위주로 운영됩니다. 2023년도 제 2기 과정의 원우들의 최고의 수강 만족도와 현장의 전문가와 다양한 분야의 원우들의 교류는 기업의 안전경영 현장에 귀중한 정보가 되고 있습니다. 2025년도 제 4기 과정은 중대재해처벌법·산업안전보건법 국내 최고 전문가를 강사로 모시고 고도화와 스마트화된 산업안전정책 최고경영자과정으로 여러분을 모십니다.
김 동 만
한국플랫폼프리랜서 노동공제회김 상 범
서울교통공사김 정 욱
서울지방변호사회박 동 기
대한스키협회손 병 석
전 한국철도공사이 기 권
전 고용노동부정 병 석
한양대학교최 태 호
고용노동부이 성 기
건국대학교김 태 연
고용노동부김 윤 수
고용노동부박 종 길
근로복지공단임 무 송
대한산업안전협회이 영 순
재단법인 피플박 두 용
한성대학교고 광 훈
법무법인 김앤장황 규 석
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광 주
한국기술교육대학교강 검 윤
법무법인 김앤장정 경 환
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구 정 완
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류 기 정
한국경영자총협회전 인 식
현대자동차그룹 산업안전상생재단이 충 호
삼성물산정 원 진
서울지방변호사회유 인 종
경희사이버대학교강 백 근
세무법인 리온최 장 선
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❖ 4.1.(화) 1학기 개강, 총 12강좌로 편성
주차 | 날짜 | 강의내용 | 강사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1 | 4.1(화) | 입교식 | 최장선
(주임교수) |
|
고용노동부장관 특강 - 2025년 산업안전보건정책 방향 - |
김문수 장관 | 예정 | ||
수강생 오리엔테이션 | 이광주
(대학원장) |
|||
2 | 4.8(화) |
산업안전보건 정책방향 - 위험성평가와 법령개정, 참여와 협력을 통한 안전문화 확산 - |
최태호
(고용노동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) |
|
3 | 4.15(화) |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경영책임자의 역할 | 이성기
(건국대학교 교수) |
|
4 | 4.22(화) | 중대재해처벌법 및 관련 정책방향 | 김태연
(고용노동부 중대산업 재해감독과장) |
|
5 | 4.29(화) |
사업장 점검·감독 실무 및 컨설팅 - 분야별 분임토의(멘토-멘티) - |
분야별 산업안전감독관 5명 | 분임별 토론식 |
6 | 5.13(화) | 산재보험을 둘러싼 최근 동향과 이슈 | 박종길
(근로복지공단 이사장) |
|
7 | 5.23(금)∼24(토) |
원우회 상반기 워크숍 (1박2일, 국내 산업안전 우수기업 견학 등) |
주임교수
원우회 |
|
8 | 5.27(화) |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안전역량 강화 | 임무송
(대한산업안전협회 회장) |
|
9 | 6.3(화) | 급변 시대의 기업경영과 산업안전보건 | 이영순
(재단법인 피플 이사장) |
|
10 | 6.10(화) | 자율규제와 위험성평가 시대, 그 의미와 기업의 대응방안 | 박두용
(한성대학교 교수) |
|
11 | 6.17(화) | 발주와 도급의 구분, 지배·관리 등의 쟁점토론 | 고광훈
(노무사, 전 대전지방고용노동청장) |
|
12 | 6.24(화) |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사례 및 주요 이슈 | 황규석 (중부지방고용노동청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) |
❖ 9.2.(화) 2학기 개강, 총 12강좌로 편성
주차 | 날짜 | 강의내용 | 강사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13 | 9.2(화) | 개강식 | 최장선 (주임교수) |
|
중대재해 발생시 수사 및 행정조치 대응방안 | 강검윤 (변호사, 전 중대 산업재해감독과장) |
|||
14 | 9.9(화) |
위험성평가사업/안전보건관리 시스템 구축 등 - 분야별 분임토의(멘토-멘티) - |
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분야별 주제발표 5명 |
분임별 토론식 |
15 | 9.18(목) ∼9.20(토) |
원우회 하반기 워크숍 (2박3일, 문화탐방) |
주임교수/ 원우회 | |
16 | 9.23(화) | 급성중독 등 직업병 예방 및 관리방안 | 구정완 (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경영대학원장) |
|
17 | 9.30(화) | 산업안전보건 역사와 선진사례와의 비교분석 | 류기정 (한국경영자총협회 총괄전무) |
|
18 | 10.14(화) | 안전보건상생협력과 중대재해예방 | 전인식 (현대자동차그룹 산업안전상생재단 사무총장) |
|
19 | 10.21(화) | 고위험 중심 사고예방 전략 | 이충호 (삼성물산 안전환경실장) |
|
20 | 10.28(화) |
중대재해처벌법의 핵심쟁점, 기업의 대처방안 |
정원진
(서울변호사회 중처법 대응TF 위원장) |
|
21 | 11.4(화) | 생각을 바꿔야 안전이 보인다 | 유인종
(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) |
|
22 | 11.11(화) |
세금의 5W1H(육하원칙) -양도, 증여, 상속을 중심으로- |
강백근 (세무사, 전 동화성세무서장) |
|
23 | 11.18(화) | 중대재해 사례연구 및 분임별 발표 | 최장선 (주임교수) |
|
24 | 11.25(화) | 수료식(식전행사,시상) | 총장/자문위원/외빈 등 |
❖ 변동이 있을 수 있음